1 형렬이 상제님과의 친면親面을 잊지 못하고 항시 상제님의 거동이 마음 가운데 은은하던 중에,
2 수년이 지난 뒤 '대원사에서 도를 통하셨다.'는 풍문을 들은 후로는 만나뵙고 싶은 마음이 더욱 간절해지니라.
3 그러던 차에 임인년 4월 4일 원평 장날에 양식이 떨어져 돈 한 냥을 주선하여 시장에 갔다가 그곳에서 마침 꿈에 그리던 상제님을 상봉한지라.
4 형렬이 반가운 마음을 이기지 못하여 쌀을 팔아서 가족들을 살릴 마음은 간데없고,
5 문득 생각하기를 '이 돈을 노자로 드린다면 가솔家率들이 굶을 것이요, 만일 드리지 아니하면 서로 친한 사이에 의리가 아니라.' 하고 돈 한 냥을 상제님께 노자 하시라고 드리니,
6 상제님께서 웃으며 말씀하시기를 "나는 노자가 있으니 걱정말고 배고파하는 가족에게 어서 쌀을 팔아 돌아가게." 하시니라.
7 이에 형렬이 더욱 간곡히 돈을 올리며 "만일 선생님께서 이 돈을 받지 않으시면 저는 이대로 집이고 뭐고 죽어서라도 선생님 뒤를 따르겠습니다." 하고 굳게 맹세하니라.
8 그제야 상제님께서 웃으시며 "자네가 가족을 남겨두고 죽겠으니 불가불 받겠네. 그러나 쌀 팔아 오기를 기다리는 자네 가족들은 어쩌겠는가?" 하시니,
9 형렬이 대답하여 아뢰기를 "예, 선생님이 돈 한 냥을 받으시면 제 마음이 좋아 생기가 나서 열 냥이 당장에 생기겠습니다." 하거늘,
10 상제님께서 "허허, 그렇다면 받겠네. 그러나 참으로 어려운 돈인데…." 하고 받으시니라.
<충청도로 떠나신 상제님>
11 형렬이 돈을 올리고는 "저의 집이 누추하나마 멀지 않은 곳에 있으니 하룻밤 모시고자 하나이다." 하니,
12 상제님께서 웃으시며 말씀하시기를 "돈 주고 밥조차 주려는가. 참 고마운 일이로고.
13 내가 지금은 충청도에 볼일이 있어 가니 갔다 돌아오는 길에 들를 참이네. 안심하고 어서 쌀 팔 꾀나 내게." 하시거늘,
14 형렬이 반가이 여쭈기를 "꼭 오시기를 기다리겠습니다." 하니 상제님께서 "그리 하게." 하시고 길을 떠나시니라.
<콘텐츠 출처 - 증산도 도전道典 3편 8장>
'증산도 도전 살펴보기 > 도문, 성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증산도 도전] (3-10) 김형렬 집에 찾아오심 (0) | 2021.02.19 |
---|---|
[증산도 도전] (3-9) 빈 지게 걸머지고 돌아온 김형렬 (0) | 2021.02.19 |
[증산도 도전] (3-7) 도문의 식주인 태운 김형렬 (0) | 2021.02.19 |
[증산도 도전] (3-6) 그대의 딸을 천지사업에 바치라 (0) | 2021.02.19 |
[증산도 도전] (3-5) 호연이라 부르시니라 (0) | 2021.02.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