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염병은 바이러스나 박테리아 같은 미생물 병원체가 일으키는 것이다.
바이러스는 최소 단위의 미생물로서 단독으로는 생존할 수 없어 숙주 안에 들어가서 산다.
세포에 들어가 세포 안에 있는 물질을 사용, 자기 복제를 함으로써 수천, 수만의 바이러스를 만들어낸다.
바이러스가 다른 생명체와 뚜렷이 구별되는 점 중 하나는 '변이'도 많고 다른 바이러스를 만나 교잡하는 일도 잦다는 것이다.
그래서 신종 바이러스가 쉽게 생겨난다.
그런데 변이와 교잡에 의해 출현한 신종 바이러스가 다른 종의 생물로 옮겨 붙는 경우가 있다.
그럴 경우 새로운 숙주 생물은 낯선 바이러스에 대항할 면역체계를 갖추지 못했으므로 세포가 급속히 파괴된다.
이 바이러스는 숙주 생물이 죽기 전에 다른 숙주 생물로 옮겨 붙어야 살아남을 수 있는데 여기서 더욱 강력한 전염성을 갖게 된다.
'정착-전염-정착'으로 이어지는 것이 바이러스의 생존 방식인 것이다.
또 박테리아는 지구에서 가장 많은 미생물로, 지구 안에 박테리아가 존재하지 않는 공간은 한 군데도 없다.
생명이 존재할 수 없을 것 같은 곳, 심지어 화산이 폭발하는 뜨거운 곳에서도 어김없이 살아 움직인다.
우리 몸에 붙어사는 것만도 적어도 2백여 종에 이른다.
입 속과 창자, 그리고 피부에 허락도 없이 얹혀 산다.
우리 몸의 1kg 정도가 이러한 미생물로 채워져 있으며 그 가운데 1퍼센트도 안 되는 미생물이 인간에게 병을 가져다 주고 해를 끼친다.
이렇듯 인간은 '미생물의 바다' 속에서 살아가므로 미생물 병원체의 감염을 피할 수 없다.
그동안 인류는 '미생물 병원체의 박멸'을 목표로 끊임없이 전쟁을 해 왔다.
하지만 인간은 이 전쟁에서 승리할 수 없다.
미생물의 정보 전달 능력은 인간이 상상할 수조차 없이 빠르다.
그들은 숙주인 인간의 몸 속에 살면서 약을 투입하여 죽이려고 하면 그 사실을 알고 재빨리 다른 곳으로 옮겨가 새로운 집을 짓는 것이다.
그리고 생존을 위해 항생 물질에 내성을 가진 더욱 강력한 종으로, 병마病魔로 진화해서 더 큰 병을 몰고와 보복을 한다.
교묘한 돌연변이와 혁신의 재주를 갖고서 마치 심술을 부리듯 다시 일을 저지르는 것이다.
설사 인간이 미생물 병원체를 박멸할 수 있다 해도 그것은 생명계의 질서를 파괴하는 결과를 가져온다.
그러므로 결국 미생물과 인간은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함께 진화[공진화共進化]하는 쪽으로 나아가게 되는 것이다.
(목차 - 제1편 더 큰 병란이 몰려온다 / 1. 세계의 공포, 전염병 대유행 / (특) 끊임없이 진화하는 미생물)
(콘텐츠 출처 - 『생존의 비밀』)
'증산도 진리 (입문) > 『생존의 비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존의 비밀] (1-2-1) 전염병은 문명의 동반자 (0) | 2021.01.01 |
---|---|
[생존의 비밀] (1-2-0) 들어가는 말 (0) | 2021.01.01 |
[생존의 비밀] (1-1-5) 대유행은 이제 시작일 뿐 (0) | 2021.01.01 |
[생존의 비밀] (1-1-4) 한반도를 휩쓴 스페인독감 (0) | 2021.01.01 |
[생존의 비밀] (1-1-3) 스페인독감의 악몽 (0) | 2021.01.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