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경석이 약장과 궤와 철연자와 삭도와 횃대와 부벽시付壁詩와 액자 등 모든 기구와 방바닥의 먼지까지 쓸어서 짐꾼에게 지우고,
2 마침내 도배지를 떼니 일찍이 상제님께서 "이 종이를 뜯을 날이 속히 이르러야 하리라." 하신 말씀이 응험되니라.
3 경석이 형렬에게 돈 20원을 주며 말하기를 "따님의 병이 위중하다 하니 약소하나마 약값에 보태어 쓰십시오." 하고 인사한 뒤,
4 비바람을 무릅쓰고 마을 앞 정문旌門 거리에 이르니 풍우와 뇌성이 그치고 형렬의 집에서 곡성哭聲이 들리더라.
<약장은 곧 안장롱>
5 잠시 후 형렬의 집에서 한 사람이 달려와 '김 부인이 돌아가셨다.'는 부고訃告를 전하거늘,
6 이로써 일찍이 상제님께서 형렬에게 "약장은 곧 안장롱安葬籠이니라." 하신 말씀이 이루어지니라.
7 이 때 경석은 상제님 어천 직전에 자신이 왕비 비妃 자를 죽은 어미 비妣 자로 그릇 쓴 것이 '김 부인의 운명에 대한 상제님의 예시'였음을 깨닫게 되니라.
<장례비를 후히 내려주심>
8 경석이 약장을 지고 원평에 당도하니 태모님께서 "약장 지고 올 적에 무슨 소리가 난 일이 있더냐?" 하시거늘,
9 경석이 "예, 곡성이 있었습니다." 하고 김 부인이 사망한 사실을 아뢰니,
10 태모님께서 "불쌍하다." 하시고 치상비를 후히 주시며 "장사葬事에 보태어 쓰게 갖다 주어라." 하시니라.
<콘텐츠 출처 - 증산도 도전道典 11편 25장>
'증산도 도전 살펴보기 > 고수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증산도 도전] (11-27) 약장은 네 농바리 (0) | 2021.03.30 |
---|---|
[증산도 도전] (11-26) 경석의 불평줄을 경계하심 (0) | 2021.03.30 |
[증산도 도전] (11-24) 하늘의 뜻이니 마음대로 가져가라 (0) | 2021.03.30 |
[증산도 도전] (11-23) 약방의 먼지까지 쓸어오라 (0) | 2021.03.30 |
[증산도 도전] (11-22) 약방 기물을 가지러 원평으로 가심 (0) | 2021.03.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