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시아에 서구 문물이 유입되기 시작하면서 동서 문명이 본격적으로 충돌하던 19세기, 동방에 위치한 조선 왕조는 안으로 무능한 조정과 벼슬아치들의 횡포, 잦은 자연 재해, 그리고 밖으로는 기독교를 앞세운 서양 제국주의 세력의 위협 때문에 크나큰 위기를 맞고 있었다.
이렇듯 암울한 시대에 동방의 조선 경상도 땅 몰락한 선비 집안에서 한 인물이 태어났다.
이분이 바로 수운 최제우이다.
수운은 어려서부터 세상에 아무런 희망이 없음에 방황하다가, 이 시대 민중에게 빛을 열어주는 '새로운 도를 일으키겠다'는 서원을 세웠다.
구도 생활에 매진하던 수운은 1859년 10월에 다시 발심을 하고 경주 용담정에 들어가면서 '천주를 친견하기 전에는 세상에 나서지 않겠다'는 다짐으로 생사를 걸고 기도에 정진하였다.
이듬해 37세 되던 1860년 음력 4월 5일, 날마다 세 번씩 청수를 올리며 일심으로 기도하던 수운은 마침내 지존하신 천주님으로부터 성령으로 도통과 천명을 받았다.
수운이 기도를 올린 천주님은 누구신가?
'천주'는 '하늘의 주인'이란 뜻이다.
수운의 기도를 받으신 그 천주님이 성령으로 나타나셔서 이렇게 말씀하셨다.
"두려워 말고 겁내지 말라.
세상 사람들이 나를 상제上帝라 이르거늘 너는 어찌 상제를 모르느냐.
(曰 勿懼勿恐하라. 世人이 謂我上帝어늘 汝不知上帝耶아.)" (『동경대전』「포덕문」)
천주님이 "나는 상제다" 라고 하셨다.
'나는 예로부터 세상에서 받들어 온 상제다.'
이것은 '기독교에서 말하는 천주, 천지의 주인, 온 우주의 통치자가 상제다', '내가 바로 그 상제다' 라는 말씀이다.
서양 기독교에서 모시는 천주님과 예로부터 동방 문화에서 하나님으로 불러 온 상제님이 같은 분이라는 것이다.
하늘도 하나요, 땅도 하나다.
그렇듯이 '천지의 주인'은 '한 분'이며, 그분이 상제님이라는 말씀이다.
이 문제에 대해 독자들도 한번 생각을 해 보자.
동서양 성자들이 말하는 하나님이 만일 서로 다른 분이라면 인류에게는 아무런 희망이 없다.
각기 다른 교리로 다른 구원의 법방을 고집하고 있는데 어떻게 인류 보편의 구원이 이루어질 수 있겠는가.
이때 상제님은 "너는 어찌 상제를 모르느냐?"고 수운을 꾸짖으셨다.
이것은 비단 수운뿐만이 아니라, 진리의 까막눈이 되어 상제님이 천지의 원 주인이라는 것을 알지 못하는 지상의 모든 인간을 꾸짖으시는 말씀일 것이다.
수운이 전한 구원의 최종 결론은 다음의 '한 소식'에 들어있다.
"유도불도 누천년에 운이 역시 다했던가." (『용담유사』「교훈가」)
"무극대도 닦아내니 '오만년지 운수'로다." (『용담유사』「용담가」)
본래 종교의 주요 기능 가운데 하나가 인간의 마음과 영혼의 문제를 해결해 주는 것이다.
지난날 기성 종교들도 나름대로 인류의 삶과 영적 구원에 헌신해 왔다.
그러나 그들의 가르침은 3년 괴질의 병란 개벽으로 인류 역사가 완전히 새롭게 된다는 것은 전하지 못했다.
그렇기 때문에 그들의 가르침으로는 앞으로 올 질병대란을 다스릴 수 없다는 것이다.
수운은 이 괴질과 함께 오는 '다시 개벽'이 오직 무극대도로써만 극복이 가능하다고 하였다.
무극대도란 조화가 무궁한 천주님, 즉 상제님의 도법을 말한다.
수운의 메시지에는 '상제님의 도법을 잘 닦으면 구원을 받아 5만년 새 운수 속에서 살 수 있다'는 희망의 소식이 담겨있다.
(목차 - 제2편 대병란은 왜 오는가 / 3. 병든 천지를 고쳐주시는 '한 분'의 강세 : [2] 동학東學에서 전하는 '한 분' 소식 / (1) 천주님의 성령으로 도통받은 최수운)
(콘텐츠 출처 - 『생존의 비밀』)
'증산도 진리 (입문) > 『생존의 비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존의 비밀] (2-3[3]-1) 온 인류의 하나님이신 상제님 (0) | 2021.01.05 |
---|---|
[생존의 비밀] (2-3[2]-2) 수운이 전한 '시천주侍天主'의 뜻 (0) | 2021.01.05 |
[생존의 비밀] (2-3[1]-4) 영지자들이 전한 한소식 (0) | 2021.01.04 |
[생존의 비밀] (2-3[1]-3) 유교의 결론 (0) | 2021.01.04 |
[생존의 비밀] (2-3[1]-2) 기독교에서 전하는 신천지 소식 (0) | 2021.01.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