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7월 그믐께 차경석, 김경학, 김광찬, 박공우가 김형렬을 방문하고 장래 일을 의논할 때,
2 경석이 말하기를 "선생님께서 당신이 곧 미륵불이라 말씀하셨고, 또 어천하실 때 '금산사로 들어가리라.' 하셨으니,
3 우리가 이제 미륵전彌勒殿에 참배하여 당신을 대한 듯이 정성을 들여 취할 길을 생각하면 반드시 선생님의 감화를 받아 깨달음이 있으리라." 하며 미륵전 치성을 주창하거늘,
4 성도들이 모두 이를 옳게 여겨 치성을 모시기로 하니라.
5 경학이 소 한 마리를 준비하고 나머지 치성 제물은 다른 성도들이 준비하여 금산사에 들어가니,
6 이 때 한 늙은 신중이 돌무지개문 밖에서 기다리고 있다가 환영하며 말하기를 "어젯밤에 금산사 여러 불타와 오백 나한과 호위신장들이 일제히 돌무지개문 밖에 나와서 거룩한 행차를 맞아들이는데,
7 그 행차 뒤에 그대들이 따라오는 꿈을 꾸었으므로 이제 나와서 기다리는데 그대들이 오는 것을 보게 되니 어찌 기이한 일이 아니리오." 하더니,
8 다시 경학을 가리키며 말하기를 "그대들의 앞에 서서 수염이 복스럽게 난 도인이 걸어 왔는데 바로 이분이오." 하니라.
9 일행이 미륵전에 들어가 참배하고 종이에 '옥황상제지위玉皇上帝之位'라고 써서 미륵불상 몸에 붙이고 경학의 진행으로 치성을 올린 뒤에,
10 그 종이 위패를 떼어 안고 금산사 경내의 사실私室에 들어가 벽에 모시고 각기 정심하여 상제님을 사모하며 기도하니라.
11 이 때 형렬이 문득 신안이 열리거늘 대장전大藏殿에 들어가 석가불에게 장래일을 물으니,
12 석가불이 책을 들고 입을 열어 가르치려 할 즈음에 상제님께서 완연한 미륵불의 형상으로 들어오시어 책을 빼앗고 입을 막으시더라.
13 이에 형렬이 목이 메어 "스승과 제자된 사이에 알면서도 이렇게 무심할 수 있습니까?" 하니,
14 상제님께서 시 한 수를 보여 주시고 홀연히 사라지시니 이러하니라.
15 어량수적삼천계魚糧水積三千界요 안로운개구만천雁路雲開九萬天이라.
무어별시정약월無語別時情若月이언마는 유기래처신통조有期來處信通潮라.
(어량魚糧은 물 속 삼천 세계에 쌓여있고 기러기 길은 구름 개어 하늘 구만리로다.
말없이 이별할 때의 정은 으스름 달빛처럼 애련한 것이언만 다시 올 기약 있어 믿는 마음은 조수처럼 어김이 없을진저.)
16 형렬이 할 수 없이 물러나와 일행에게 사유를 말한 후에 공부를 파하고 돌아와 생각해 보니,
17 이 날이 바로 상제님께서 '환궁하리라.' 하신 8월 초하루이더라.
<콘텐츠 출처 - 증산도 도전道典 10편 84장>
'증산도 도전 살펴보기 > 어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증산도 도전] (10-86) 나도 공부를 해 보리라 (0) | 2021.05.21 |
---|---|
[증산도 도전] (10-85) 김경학의 개심의 계기 (0) | 2021.05.21 |
[증산도 도전] (10-83) 어천 후 상제님을 뵌 차경석 (0) | 2021.05.21 |
[증산도 도전] (10-82) 어천 후에도 자주 나타나신 상제님 (0) | 2021.05.21 |
[증산도 도전] (10-81) 너희들을 살리려고 갔는데 (0) | 2021.05.21 |
댓글